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6

공무원 임금 인상률 어느 정도가 적정할까? 2023년 공무원 임금 인상률 1.7%를 가지고 논란이 일고있습니다. 과연 공무원 임금 인상률은 어느정도가 되는 것이 적정한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됩니다. 문득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은 어느정도 급격하게 증가해왔는지가 궁금해졌습니다. 1994년에 1만불을 돌파하고 2006년에 2만불을 돌파하고 2018년에 3만불을 돌파하였으며 2021년에 3만5천불을 돌파했다는 자료를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아마 대한민국의 명목 국민총소득 지표인 것 같습니다) 공무원의 명목 임금수준도 궁금해졌습니다. 1994 2006 2018 2021 9급 1호봉 327,000원 792,900원 1,448,800원 1,659,500원 7급 1호봉 421,000원 1,017,800원 1,785,500원 1,898,700원 5급 1호봉.. 2022. 9. 2.
면접 순서와 유불리함에 대해(feat. 공무원 면접, 공무직 면접) 면접을 보는 순서에 따라 결과(당락)에 영향을 미칠까요? 수험생들이 많이 궁금해 하는 부분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면접 들어가는 순서와 면접 결과에는 어느정도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다만, 면접 순서에 따라 유불리함을 없애기 위해 많은 회사가 노력하고 있습니다. 심리학 개념중에 '최신효과'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최신효과(recency effect) : 최근에 들어온 정보가 인상이나 기억에 더 큰 영향을 끼치는 현상 면접관 입장에서 마지막에 면접을 본 지원자의 인상이 처음이나 중간에 면접을 본 지원자의 인상보다 훨씬 강렬하게 기억됩니다. 최신효과에 따라, 마지막에 면접을 본 지원자는 면접을 잘 봤으면 다른 지원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욱 잘본 것 처럼 면접관이 느끼고 면접을 못봤으면 다른 지원자에 비해 상.. 2021. 8. 13.
면접에서 지원자의 장단점을 물어보는 이유와 장단점을 묻는 질문에 답변하는 방법 사기업 면접이건 공무원 면접이건 면접에 임하는 모든 지원자가 항상 필수적으로 준비해 가는 답변이 있습니다. 바로 본인의 장단점에 대한 답변입니다. 사기업 면접의 경우, 자기소개서에서 지원자의 장단점에 대해 일정 글자 수 이내로 작성하고 하기도 합니다. 면접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면접관이 "본인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이야기해보십시오"라고 요청하는 경우를 항상 대비하고 면접에 들어가게 됩니다. 1. 면접관이 지원자의 장·단점에 대해 물어보는 이유 왜 면접관들은 지원자의 장단점에 대해 궁금해하는지 한 번이라도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회사(면접관들)는 다음과 같은 지원자를 원합니다. '본인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스스로 잘 파악하고 있으며 파악한 바를 토대로 문제 상황에 현명하게 대처.. 2021. 8. 8.
공무원 면접에서 우수를 받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두 가지 요소 1. 진정성 면접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우선, 면접관을 설득해야 합니다. 면접관이 지원자에게 설득당하려면 지원자의 답변에서 진정성이 느껴져야 합니다. 단지 면접에 합격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달달 외워서 대답한다는 느낌이 들면 면접관에게 큰 공감을 주기 어렵습니다. "맞는 말이지 뭐..." 하고 끝납니다. 단지 평범한 수많은 지원자 중에 한 명으로 생각하고 넘어갈 뿐입니다. 미흡은 받지 않을지언정 우수를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지원자의 이야기가 진짜 같고 면접관이 생각해도 정말 그랬을 것 같고 강하게 공감이 된다면 면접관도 지원자에게 좋은 점수를 줄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면접관이 강하게 공감할 수 있도록 답변에 진정성을 부여할 수 있을까요? msg를 살짝 첨가하면서 답변을 .. 2021.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