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17일에 있었던 국가직 9급 필기시험 합격자 명단(수험번호)과 합격선(커트라인)이 26일 발표되었습니다.
'21년 전국일행 최종선발인원은 416명입니다.
필기시험 합격자는 555명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최종 선발인원의 1.33 배수만큼 면접 기회를 부여한 것입니다.
통상적으로 1.2~1.5 배수 사이에서 필기 합격인원을 결정하는 국가고시센터의 경향에는 큰 변함이 없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공단기에서 제공하는 합격예측 서비스의 정확성도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험생활을 할 때 기억에 남는 말 중 하나는 바로 "컷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이번에도 역시 수험생들이 선호하는 직렬의 컷은 높게 형성되고 수험생들에게 선호되지 않는 직렬의 컷은 낮게 형성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주의깊게 살펴볼만한 주요 직렬의 합격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국일행 400.84
교육행정 411.84 (양성 410.80)
광주전남일행 395.73
대구경북일행 390.13 (양성 388.70)
부산일행 404.10
제주일행 415.36
경찰일행 394.10 (양성 389.10)
고용노동 387.34 (양성 386.40)
세무 375.34
전국일행
역시 400.84로 커트라인이 높습니다.
중앙부처에서 일할 수 있다는 점 등의 사유로 전통적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양성평등 커트라인이 발생하지 않는 직렬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남자 여자 수험생 모두에게 선호되는 직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지역일행과 전국일행의 차이점은 전국일행에 훨씬 인기기관이 많다는 것입니다. 지역일행은 중앙부처 중 각 지역에 소속기관 및 지방관서를 두고 있는 부처가 많은데 보통 수험생들한테 인기 있는 부처는 지방관서가 별로 없습니다.
교육행정
항상 매번 상당한 커트라인을 자랑합니다. 중앙부처 근무보다 대학교 근무가 워라벨 가능할 것으로 보여 인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양성평등 커트라인이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여성분들이 선호하는 직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기관 모두 실무를 경험해 본 사람 입장에서 대학교라고 워라벨 하는 것도 아니고 중앙부처라고 워라벨 못하는 것도 아니긴 합니다)
광주전남일행, 대구경북일행
지난해에 이어 올 해에도 타 지역에 비해 채용 규모가 큽니다.
제가 여기서 드리고 싶은 말씀은 채용 규모가 크다고 반드시 커트라인이 낮은 것은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채용 규모가 거의 동일한(62명과 64명) 광주전남과 대구경북의 커트라인 차이가 5점 이상 벌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채용규모와 커트라인은 크게 상관없을 수도 있습니다. 공무원 시험에 뛰어드는 응시생이 최종선발인원에 비해서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10,000명이 시험을 응시하는데 10명을 뽑으나 20명을 뽑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는 것입니다. 직렬을 건너뛰어 비교하면 이런 경향 차이는 더욱 두드러집니다.
아무리 많이 뽑아도 인기 직렬은 커트라인이 높게 형성되고 아무리 적게 뽑아도 비인기 직렬은 커트라인이 낮게 형성됩니다.
부산일행, 제주일행
각각 3명과 4명을 뽑습니다. 최종 선발인원이 적은 소수직렬은 깜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커트라인이 높게 형성될지 낮게 형성될지 결과가 발표되기 전까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가채점 자체를 안 하는 고득점자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경찰일행
계속 양성평등 커트라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여성 수험생의 선호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무리 경찰일행이 좋아 보여도 전국일행보다는 약세인 것이 분명합니다.
고용노동부, 세무직
고용노동부는 최근 들어 대규모 채용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세무직은 제가 수험생활을 하던 2015년부터 지속적으로 대규모 채용규모를 유지해오고 있습니다. 부처 인기도와 채용규모 등을 고려했을 때 커트라인은 항상 낮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국가직 9급 필기 합격선 다운로드 받기↓↓↓↓↓↓↓↓↓
※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gosi.go.kr)>시험통계/자료실>시험별 통계
'공무원 시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직 공무원은 전문성이 없고 국가직 공무원은 전문성이 있다? (0) | 2021.06.01 |
---|---|
6월 지방직 9급 시험 결과: 자신의 등수를 확인하는 방법 (0) | 2021.05.31 |
공무원 시험 준비하는 것은 위험하다?? (0) | 2021.05.29 |
2021년 지방직·서울시 9급 공무원 시험 D-11, 수험생이 하지 말아야 할 일 vs 해야 할 일 (0) | 2021.05.25 |
공무원 시험 원서 접수 놓쳐서 시험 못 본 썰(※한심함 주의) (3) | 2021.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