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을 실물로 가지고 있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나서부터 금을 어디서 사야 싸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금 투자 할 때 참고할 점
1. 이 금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사는사람이 잘 확인해보고 사야합니다.
전문가가 아닌 이상, 일반인이 진위 여부나 순도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믿을 수 있고 공인된 기관에서 금을 사는게 좋습니다.
한국금거래소, 은행, 조폐공사, KRX(한국거래소) 같은 곳이 있겠지요.
2. 금을 살 때 부가가치세 10%가 붙는 경우가 있고 안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금 거래 유형에 따라 부가가치세 10%가 붙는 경우가 있고 안 붙는 경우가 다양합니다. 개인간 거래 시엔 부가가치세가 안붙습니다.
은행에서 살 땐 붙습니다.
KRX에서 거래할땐 안 붙다가도 실물 금 형태로 인출할 때엔 붙습니다.
3. 금을 정제된 형태로 만드는데엔 공임이 들어갑니다.
금으로 반지를 만들기도 하고 돼지 모양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투자 시 가장 선호되는 형태는 골드바 형태가 아닐까 합니다. 비교적 보관하기에 좋기 때문입니다.
100g 골드바 제작 시 공임이 대략 10만원정도 드는것 같습니다.
금 살 수 있는 방법 네가지
실물 금을 살 수 있는 방법 4가지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비싸게 구입하는 방법부터 싸게 구입할 수 있는 방법 순서대로 작성해볼게요.
※ 제가 기록한 것은 대략적인 가격 비교일 뿐 정확한 것은 그때그때 확인해보셔야합니다
2월 3일 23시10분 기준으로 국내 금시세(매매기준율)는 g당 75,217.63원입니다.
1. 시중은행
◇ 살 때 : 매매기준율 × 1.05(+5% 스프레드 적용) × 1.1(+10% 부가세 적용)
※ 1.05 × 1.1 = 1.155이므로 매매기준율에 1.155를 곧바로 곱하면 은행에서 사는 값이 나옵니다.
→ 100g 골드바 사는 경우 : 8,687,636원*
*국내 금시세 매매기준율 75,217.63원 × 100g × 1.05 × 1.1 = 8,687,636원
※ 은행은 골드바 형태로만 판매합니다.(반지, 돼지 등 불가) 골드바 형태로 만드는데 들어가는 공임 등은 부가가치세에 포함되어있나봅니다.
◇ 팔 때 : 매매기준율 × 0.95(-5% 스프레드 적용)
큰 은행이 고객을 속일 가능성은 매우 낮으므로 믿고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건 한국금거래소나 조폐공사, 증권사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비싸다는 것이 엄청난 단점입니다.
그래서 은행에서 금을 구입하는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아는 은행원 피셜 "은행에서 8년 근무하는 동안 고객한테 금 판적이 1~2건 밖에 없다"
2. 금방금방(한국금거래소가 만든 플래폼) 어플
금방금방은 한국금거래소가 고객들끼리 금을 사고팔 수 있게 만든 플래폼입니다. 개인간 거래이기 때문에 부가가치세가 붙지 않습니다. 당군마켓같은 것인데요, 한국금거래소가 중간에서 품질을 확인하고 거래를 중개하기 때문에 믿을만합니다.
금방금방에선 비트코인을 사고 파는 것 처럼 금을 0.005g 단위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분할매수하다가 나중에 1g이 모이면 그때부터 인출할 수가 있습니다.
24시간 내내 거래가 가능하고 금방금방만의 고유 금 시세가 형성되어있습니다.
(비트코인 시세 변하는 것 처럼 시시각각 시세는 변합니다.)
2023년 2월 4일 저녁 기준, g당 약 81,000원정도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국내 금시세 75,217원보다는 비싸게 형성되어있습는 모습을 볼 수있습니다.
(팔 때도 그만큼 국내 금시세보다 비싸게 팔 수 있겠지요)
금방금방에서는 금을 살 때 2.5%의 수수료가 붙고 팔 때 2%의 수수료가 붙습니다.
나중에 산 금을 인출할 때엔 인출 형태(반지, 골드바, 목걸이, 돼지 등)에 따라 공임이 추가로 붙습니다.
◇ 살 때 : 금방금방 시세 × 1.025(+2.5% 매수 수수료 적용)
→ 100g 골드바 사는 경우 : 8,402,600원*
*금방금방 고유 시세 81,000원 × 100g × 1.025(매수 수수료) + 100,100원(골드바 형태로 만들어서 인출하는 공임)
◇ 팔 때 : 금방금방 시세 × 0.98(-2% 매도 수수료 적용)
다만, 금방금방에 금을 팔려면 본인이 갖고있는 금 실물을 한국금거래소(가까운 대리점)에서 감정평가를 받아서 자산 등록을 해야 하는데 이 감정평가 과정에서 약간의 loss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999.9제품(골드바 등)은 loss 없이 중량이 100% 인정되지만 덩어리금 같은 경우엔 100% 인정해주지 않고 0.5% 손실을 적용해 99.5%만 인정해줍니다. 100g의 덩어리 금을 100g으로 인정하지 않고 99.5g으로 인정한다는 말입니다.
100g의 금이 840만원이라고 하면 감정평가 과정에서 약 4만2천원정도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나중에 팔 때 이 처럼 0.5%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애초에 금을 구입할 때 덩어리 형태가 아닌 골드바 형태로 제작해서 구입하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물론, 100g 기준으론 골드바로 만드는 공임(약 10만원)보다 그냥 덩어리로 만들어서 가지고 있다가 나중에 팔 때 발생하는 손실(약4만2천원)이 적기 때문에 최대한 싸게 사려면 그래도 덩어리로 사는것이 싸긴 합니다.
3. KRX(한국거래소)
증권사를 통해서 한국거래소에서 금 현물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
실물을 사고 파는 것은 아니고 주식을 매매하는 것처럼 돈만 왔다갔다 합니다.
어플 등 온라인으로 거래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으로 거래할 수도 있지만 수수료가 온라인이 훨씬 저렴합니다.
수수료는 증권사마다 다르므로 따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보통 0.25%정도 됩니다)
증권사 어플로 "금 현물 거래 신청"을 하시고 거래하시면 됩니다.
소량 분할매수 가능하며 나중에 일정 기준 이상 금을 보유하게 되면 골드바 형태로 실물을 인출할 수도 있습니다.
"금 99.99_1Kg" 과 "미니금 99.99_100g" 이렇게 두 가지 종목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전자는 1Kg 단위로 인출할 수 있고 후자는 100g 단위로 인출할 수 있습니다.
실물 인출 시에는 부가가치세 10%가 붙으며 인출 수수료가 증권사마다 다르지만 2만원정도 추가로 발생합니다.
KRX도 고유 금 시세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3.2.4. 토요일에 확인해봤을 때 미니금이 g당 75,720원이었습니다.
◇ 살 때 : KRX 시세 × 1.0025(증권사 거래 수수료* +0.25%)
→ 100g 골드바 사는 경우 : 8,368,130원*
*KRX 고유시세 { 75,720원 × 100g × 1.0025(거래 수수료) } + { 75,720 × 100g × 0.1(부가가치세**) } + 20,000원(인출 수수료)
**부가가치세는 인출 시 평단 기준으로 부가된다고 합니다.
◇ 팔 때 : KRX 시세 × 0.9975(증권사 거래 수수료 -0.25%)
4. 금은방
금은방은 개인이 운영하는 곳이기 때문에 사기당하지 않게 주의하셔야 합니다.
요즘 세상에 사기치는 금은방은 거의 없다고는 합니다.
금은방마다 가격이 다르지만 제가 알아보았던 곳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 현금으로 살 때 : g당 81,600(매매기준율보다 약 8.5% 높은 가격)
◇ 팔 때 : g당 78,666.67(매매기준율보다 약 4.6% 높은 가격)
금은방은 스프레드가 은행보다 좁은것 같습니다.
은행 스프레드는 매매기준율울 기준으로 위 아래로 5%씩 10%인데 금은방에선 스프레드가 약 4%정도에 불과합니다.
매매기준율보다 조금 비싸게 매수·매도해주는것 같습니다.
은행에서 팔 때가 g당 71,456원인데 금은방에서 팔 땐 78,666으로 금은방에 팔 때가 조금 더 값을 잘 받을 수 있습니다.
매매기준율이 10,000원이라고 치면
은행에서 살 땐 11,550원
금은방에서 살 땐 10,850원
은행에다 팔 땐 9,500원
금은방에다 팔 땐 10,460원
정도로 볼 수 있겠네요
금은방에선 골드바 형태가 아니라 덩어리금 형태로 살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 덩어리 금이 순도 99.99라는 것을 인증하기 위해 인증마크를 금에 찍는데, 인증마크 찍는 공임이 3,000~5,000원정도 들어갑니다.
→ 100g 덩어리금 사는 경우 : 8,165,000원*
*금은방에서 결정한 가격 81,600원 × 100g + 5,000원(인증마크 찍는 공임)
100g 살 때 | 100g 팔 때 | |
은행 | 8,687,637원(골드바) | |
금방금방 | 8,402,600원(골드바) | 7,938,000원(골드바) 7,898,310원(덩어리금) |
KRX(한국거래소) | 8,368,130원(골드바) | |
금은방 | 8,165,000원(덩어리금) | 7,866,667원 |
※ 실물 골드바를 은행이나 KRX에 팔 수 있나 모르겠네요. 추후에 공부하고 포스팅할게요.
결론
1. 금은방에서 사는 것이 확실히 싸긴 싼것 같습니다.
2. 조금씩 분할매수를 했다가 나중에 한번에 실물로 인출하려는 경우에는 KRX에서 거래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실물을 직접 보관할 생각이 없고 매매하여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에는 KRX에서 거래하는 것이 가장 좋아보입니다.
4. 골드바 말고 다양한 형태(돼지, 반지 등)로 사시려면 금방금방에서 거래하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 저도 전문가가 아니고 공부하는 사람 입장에서 알아본 것을 요약한 포스팅이므로 100% 믿지 마시고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지방소득세 신고방법 (1) | 2023.05.10 |
---|---|
ARIRANG 고배당주 매수 후 1년 보유 후기(올 해 배당락일은 언제고 배당금은 언제 줄까?) (1) | 2023.04.28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 매수 후 1년 보유 후기 (0) | 2023.04.22 |
경매 후기 대전지방법원 본원 (0) | 2022.09.03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하는 방법(#한국투자증권, #종합소득세) (0) | 2021.05.04 |